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2

세상물정의 경제학 비판글 제 3부 1장의 내용은 인터넷의 보급과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면서 신용카드와 전자화폐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러한 전자 화폐가 일으키는 문제점에서 지적하고 있다. 본문에서 나오는 문제점에 대하여 동의하지 못할 경우에 비판하겠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를 전후로 이 신용카드 제한을 풀면서 사단이 나고 말았습니다. 신용 카드의 성격상 절대로 함부로 발급하면 안 되는 것인데 말입니다. 즉 당시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신용카드가 가진 귀족성을 무시하고 대중화하였는데 그 결과는 매우 참담하였습니다. 이것 또한 한국의 가계부채의 급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말았습니다.’ 위의 인용글에 대해서 비판하겠다. 한국에서 신용카드로 인한 부채증가와 관련하여 경제위기를 겪은 것은 사실이나, 신용카드의 단점만을 들추고 있다. 첫.. 2018. 5. 31.
공공조직은 민간조직보다 덜 경직적인가? 고찰 논문 조직이론 레포트 공공조직은 민간조직보다 덜 경직적인가? http://delive.tistory.com 공공조직의 경직성에 대한 재고찰 요약 오늘날 공공조직의 경직성에 대한 비판적인 의식이 팽배하다. 이러한 의식과 더불어 전형적 관료제 조직인 공공조직의 경직성에 대한 부정적 견해의 경우 명백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공공조직의 경직성은 ‘악’한 것이고 배척해야 하는 것인가? 공공조직의 경직성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경직성에 대한 부정적인 통념이 혼동될 것이다. Merton(1940;1957)의 규칙 순응 압박에 의한 경직성, Downs(1967: 158-166)의 경직성 순환과정,Lipsky(1980)의 일선관료들의 경직성 등 여러 논의를 통해서 볼 때 공공조직의 경직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 2018. 1. 2.
롤 판테온 정글 운영법 공략 동영상 티어 올리는 법 따라만 하면 된다[디넛] 안녕하세요 ~ 디넛입니다. 오랫만에 롤 솔랭 영상 들고 찾아왔습니다. 이번에도 솔랭 영상이구요 판테온 으로 초반에 완전 말려버린 상황에서도 후반 궁극기 운영을 통해 역전하는 영상입니다. 즐감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아무리 말려도 포기하지 않는 집념으로 얻어낸 값진 승리 ㅋㅋㅋㅋ 솔랭 돌리면서 녹화한다는 압박감에 자꾸 누구한테 말하는 것처럼 이야기하네요 !! 아무튼,,,, 궁금점 있으시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 2017. 11. 2.
롤 정글 세주아니 룬특 세주아니 공략 천상계 정글러 OP챔프 [디넛] 안녕하세요 디넛입니다 !! 오늘은 정글 세주아니 공략으로 찾아왔습니다. 일단 긴말 할거없이 룬특부터 공개합니다 ! 룬은 언제나 고정으로 들어줍시다 ! 빨룬은 공속 말고는 마땅히 들어줄게 없기 때문에 무조건 공속을 들어줍시다 인장은 성체보다는 초반 정글링을 위해서 방어력 드시는걸 추천해드려요 ! 문양은 성장쿨감이 아니라 그냥 쿨감으로 들어줬습니다 극후반 가서 쿨감 10% 정도는 별 차이가 안나기 때문에 궁극기가 돌기 전에 싸움 나는 경우가 거의 없거든요 초중반에 얼마나 궁쿨을 빠르게 돌리느냐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고정쿨감을 들어줍시다 ! 정수의 경우 주문력을 통해 빠른 정글링과 딜을 높이는걸 추천드려요 ~ 직접 솔로랭크 플레이한 영상입니다 정글 세주아니 공략용으로 다이아2~3구간에서 플레이했구요.. 2017. 9. 21.
천상계 판테온 정글 리신 공략법 정글 운영 공략 [디넛] 안녕하세요 ~ 디넛입니다. 오늘은 상대 리신 상대로도 꿇리지 않는 판테온 정글 영상을 들고 왔습니다!! 천상계에서도 충분히 ~ 통하는 ~ 판테온 정글영상입니다. 인게임 티어는 다이아2 즐감해주시구 좋아요와 댓글 이웃추가 부탁드려요 ~~ 궁금하신점은 언제나 댓글로 ! 2017. 9. 17.
판테온 정글 공략법 판테온 룬 특성 디넛 다이아 솔랭영상입니다. 다이아2티어일때 찍은 영상인데 이판에 운영을 궁으로 많이 해서 제목을 궁각잡는법으로 달았습니다 !! 판테온은 궁극기의 유틸성이 가장 중요한 챔피언이기 때문에 동영상 참고 하시구 플레이에 도움 되는 점 찾으셧으면 좋겠네요 좋아요와 댓글은 많은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질문있으신 것은 언제나 댓글로 ! 2017. 9. 15.
반응형